가인정자 → 정인정자 전환 절차표

가인정자 → 정인정자 전환, 이렇게 하세요

이직확인서 반려 후 수정 완료인데도 ‘가인정자’로 보일 때의 처리 순서

🔗 고용보험(고용24) 접속 ☎ 관할 고용센터(1350) 📚 실업인정 Q&A 더 보기

핵심 : 이직확인서 서류 수정 완료는 “서류 담당자” 단계이고, 가인정 → 정인정 반영은 “실업인정 담당자”가 해야 최종 적용됩니다. 그러니 실업인정 담당 창구에 직접 전화해 “상태 반영” 요청하세요.

1) 전환 체크리스트 (3단계)

  1. 이직확인서 ‘수정 완료’ 확인 – 사업장 관할 고용센터(서류 담당)에서 처리 완료 통보 받음
  2. 실업인정 담당 창구 연락 – “수정 완료된 이직확인서 반영 요청, 가인정 → 정인정 전환” 요청
  3. 고용24/취업드림 재조회 – 보통 당일~익일 오전 사이 정인정으로 변경

* 시스템 반영이 1~2일 지연될 수 있습니다. 익일 오전 재조회 추천.

2) 담당자 역할 구분

담당 하는 일 언제 연락?
이직확인서 담당 회사 전송 서류 검토·오류 수정 (퇴직일/사유/급여) 반려/보완 발생 시, 서류 수정 진행 상황 확인
실업인정 담당 가인정/정인정 상태 반영, 수급 처리·일정 관리 서류 수정 완료 후에도 가인정일 때 → 상태 반영 요청

3) 상태별 조치표

고용24/취업드림 상태 의미 다음 조치
반려(보완) 이직확인서 오류/누락 → 서류 담당이 수정 필요 회사·서류 담당에 재전송 요청
가인정 임시 인정 상태(서류 확정 전) 실업인정 담당에게 상태 반영 요청 → 정인정 전환
정인정 최종 반영 완료 수급 일정·인정일에 맞춰 진행
※ 실제 반영 시점은 관할센터 업무량·시스템 갱신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 담당 창구에서 ‘상태 반영 완료’ 확인 후, 익일 오전 재조회 권장.
다음 이전